[암호의 역사] 암호의 역사를 알면 IT산업의 흐름이 보인다
·
비트코인/암호화폐
최근 암호 화폐에 대해 관심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암호"라는 단어에 대해 익숙해졌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대 사회에도 암호는 일상생활에서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모바일 뱅킹을 사용할 때 OTP를 사용을 하거나, 공인인증서를 사용한다거나, 지문 인식으로 스마트폰 잠금해제를 한다거나 다양한 형태로 사용을 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암호(Cryptography)라는 단어는 그리스어로 비밀이라는 뜻의 크립토스(Kryptos)에서 기원하였다. 전쟁이 잦았던 고대 로마시대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암호는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고 비밀리에 교환하기 위한 언어로 사용되었다. 암호의 발전 과정은 IT 산업과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전쟁을 통해서 암호의 기술도 급격히 발전할 수 있..
관계형/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본 포트 정리
·
STUDY/DB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NO-SQL)의 기본 포트 정리 기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분 SQL 기반(RDBM) 키-값 저장소 정의 구조화된 스키마(테이블, 행, 열) 유연한 스키마 또는 스키마 없음 데이터베이스 종류 MySQL: 3306 MONGO DB: 27017 PostgreSQL: 5432 REDIS: 6379 ORACLE: 1521 CASSANDRA: 9042 MS SQL: 1433 Neo4j: 7474(HTTP), 7687(볼트) ※참고사항 ACID는 원자성(Atomicity), 일관성(Consistency), 격리성(Isolation), 내구성(Durability)을 의미한다. BASE는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 소프트 상태, 최종 일관성을 나..
현재 카카오톡 링크로 떠도는 "나는 원숭이다." 관련하여 해킹 또는 스니핑에 대한 팩트 체크
·
INFORMATION
현재 위 그림과 같이 카카오링크가 유행처럼 번져나가고 있다. 일부 사용자들은 장난식으로 공유하고 있으며 해당 버튼 누를시 "나는 원숭이다."라는 문장이 자동으로 입력된다. 이러한 장난은 유행처럼 퍼져나가고 있으며 아래 문구와 같이 또다른 루머가 생기고 있다. [받은글] 현재 카카오톡을 통해 '이거 눌러봐요' 버튼이 퍼지고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누르면 "나는 원숭이다."가 강제 메세지를 보내게 되며 카카오톡 고유 패킷이 스니핑 되게 됩니다. 해당 버튼을 누르시면 추후 카카오톡 해킹, 강제 메세지 전송 등으로 악용 당할 수 있으니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정말 이 버튼을 눌렀을 때 해킹을 당할까? 지금부터 보안관점에서 팩트체크를 해보겠습니다.. 일단 앞서 스니핑이라는 개념을 알아야 하는데요. 스니핑에 대해 알..
[보안뉴스] Windows 7 및 Windows Server 2008 기술지원 종료
·
INFORMATION
2020년 1월 14일자로 Windows 7, Windows Server 2008 제품의 기술 지원이 종료 된다고 합니다. 해당 운영체제의 기술 지원이 종료되면 MS사에서 더 이상 신규 보안 취약점 및 오류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최신운영체제로 업그레이드를 해야만 합니다 기술지원이 종료가 되면 해커가 Windows7에서 신규 취약점을 발견하게 되면 이를 악용하여 사용자가 무방비로 노출될 수가 있습니다. 1. 기술 지원 종료 대상 - Windows 7, Windows Server 2008 및 2008 R2 2. 해결 방안 - 윈도우 제품은 Windows 10, Windows Server2012 이상의 최신버전으로 업그레이드 권장 자세한 권고 사항은 KISA 보호나라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