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SaaS형 솔루션 도입 시 기업 보안 담당자가 고려해야 할 보안 검토 사항

2023. 12. 7. 20:33·STUDY/Cloud
반응형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마침내 그 꿈을 닮아간다.
- 앙드레 말로-

0x00 SaaS 솔루션을 도입하려는 이유 🎈

안녕하세요. 루트입니다. 현재 저는 기업 정보보안팀에서 클라우드 보안 관련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SaaS형 솔루션을 도입할 때 어떤 부분을 보안성 검토를 해야 하는지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최근 많은 기업에서 IDC 또는 Private Cloud에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을 SaaS형 솔루션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사례로 들면 최근 대기업에서는 Office 365, Salesforce CRM, 데이터독, 다이나트레이스, 아틀라시안 등 SaaS형 솔루션을 많이 도입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격변하는 IT 환경에서 SaaS를 도입하게 되면 비용 절감, 뛰어난 유연성과 넓은 확장성, 데이터 이동성, 자동업데이트와 쉬운 사용성 등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0x01 SaaS형 솔루션 도입이 어려운 이유 🎃

[그림1] SaaS 도입을 망설이게하는 요소 : 출처 Finances Oline

파이낸스 온라인(Finances Online)의 조사에 따르면 SaaS 도입을 망설이는 이유가 보안과 컴플라이언스로 가장 높았습니다. 그 이유는 SaaS가 설치형이 아닌 구독형 애플리케이션인 만큼 기업의 중요데이터가 SaaS 업체의 클라우드로 저장되게 되는데 이때 기존 IDC 센터만큼 안전한 보안환경이 구성이 되어 있는가에 대한 고민인 것 같습니다. 또한 기업의 중요한 데이터가 퍼블릭 클라우드망에 올라가게 되므로 유출될 시 비즈니스에 큰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0x02 SaaS형 솔루션 도입 시 기업보안 담당자가 검토해야 할 보안 점검 사항 📌

저는 기업 클라우드 보안 담당자로써 SaaS형 솔루션을 도입 시 크게 아래와 같은 사항을 위주로 검토를 하게 됩니다.

 

① 멀티 테넌시 가능여부

  - SaaS 솔루션은 사용자가 속한 테넌트에 구성된 개별 데이터베이스 영역에 대해 사용자를 인증하고 권한 부여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해야 한다.

 

② 계정 관리

  - 사내에 구축된 인증서버와 연동하여 SSO, AD 연동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 역할별 계정권한부여(RBAC)가 가능한지 확인한다.

 

③ 접근 통제

 - SaaS 솔루션은 사내 구축 환경에 상주하는 인증 서버로 사용자를 인증하고, 요청 시 환경에 상주하는 액세스 제어 데이터로 권한 부여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해야 한다.

 

④ 안전한 통신 환경

- 당사의 인프라와 암호화된 통신으로 연결되는지 확인한다.

 

⑤ 취급 정보

  - SaaS 솔루션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확인해야하며, 저장되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SaaS 솔루션 사용 여부를 검토한다.

 

⑥ 데이터 통제권

  - 모든 데이터의 소유권은 당사한테 있으며, 서비스 해지 후 연동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 삭제 됨을 계약서에 확인한다.

 

⑦ 로그 관리

  - 계정, 감사, 행위 등에 대한 모든 로그 파일을 CASB 솔루션과 연동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해야 한다.

 

⑧ 보안 아키텍처 구성도

  - SaaS 제공업체의 보안 수준과 보안 아키텍처 구성현황을 확인한다.

 

⑨ 규정 준수 확인

  - ISO27001, ISO27017, ISO27018 등 글로벌 보안 표준인증을 받았는지 확인한다.

 


0x03 보안담당자가 꼭 준수해야 할 비즈니스 마인드 👀

기업에서 정보보안팀의 가장 큰 목표는 보안 침해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기밀성을 중요시 생각하는 게 당연한 부분이지만, 보안 편향적인 사고방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해야만 합니다.

기밀성과 가용성을 모두 고려한 이해하기 쉽고 안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면 구성원의 보안 준수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칠 수 있습니다. 구성원의 입장에서도 정보보안팀이 먼저 모범적인 사례들을 고려하여 업무를 수행한다면 "아! 보안도 어려운 게 아니라 정말 중요한 부분이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어 긍정적인 선순환구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회사생활을 약 8년 정도밖에 하지는 않았지만 사내에서 누구에게나 인정받는 보안담당자로 성장하는 방법은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고려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균형적인 사고방식을 유지하는 게 중요한 마음가짐인 것 같습니다.


0x04 참조 문헌 🧾

LG CNS 기술블로그 - SaaS 보안? CASB(Cloud Access Service Broker)로 철통방어! 

DATA ON-AIR 전문가 칼럼 - SaaS 애플리케이션 제공업체를 선택하는 중요한 10가지 기준

DATA-ON-AIR 전문가 칼럼- SaaS(Sofrware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요구사항 부합하기

Ahnlab - 공공기관의 성공적인 SaaS 도입 방안은?

반응형

'STUDY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신문] 2023.10.17 더존비즈온 AWS 협력, 국내외 사업 확대 갈증 해소  (0) 2023.10.17
'STUDY/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전자신문] 2023.10.17 더존비즈온 AWS 협력, 국내외 사업 확대 갈증 해소
루트
루트
정보보안과 IT를 연구하는 루트 연구소
    반응형
  • 루트
    루트 티스토리
    루트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89)
      • STUDY (4)
        • DB (1)
        • Cloud (2)
        • Network (1)
      • 비트코인 (4)
        • 암호화폐 (4)
      • CERTIFICATE (39)
        • 정보보안기사 (5)
        • 정보관리기술사 (13)
        • CPPG (1)
        • AWS (2)
        • 프로그래밍 (0)
      • INFORMATION (30)
        • IT 제품 리뷰 (2)
        • SW 사용 리뷰 (2)
        • 면접 리뷰 (3)
      • STORY (11)
        • 일상 (11)
  • 블로그 메뉴

    • Brunch
    • Youtube
    • 관리자
  • 링크

  • 공지사항

    • 카테고리 리뉴얼 진행중
    • 20.10.11 정보관리기술사 ~ ing
  • 인기 글

  • 태그

    30살에 시작하는 퇴사준비
    잇츠밍
    ChatGPT
    매거진
    유튜브
    브런치
    정보관리기술사
    KISA
    자격증
    클라우드
    정보보안기사
    아이티
    누구나쉽고재밌게아이티알려주는남자
    보안
    칼퇴
    정보보안전문가
    보안전문가
    공부
    it
    직장인
    암호화폐
    꿀팁
    해킹
    블록체인
    모의해킹
    비트코인
    해커
    작가
    정보보안
    컴퓨터보안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루트
[Cloud] SaaS형 솔루션 도입 시 기업 보안 담당자가 고려해야 할 보안 검토 사항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